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단어 제거
- 시퀄 문법
- ...점점점문법
- ubuntu타임존
- 스프링 데이타 JPA
- 재귀스왑
- 프론트엔드 스쿨
- 배엘에서 스왑
- 중복문자제거
- 중복단어제거
- 레디스 확인
- 중복된 단어
- 중복 문자열
- 중첩배열
- sql like연산자
- 문자열순서바꾸기
- 5.3.8 Modifying Queries
- sql 문자열 패턴 검색
- lastIndexOf()
- 문자열 중복
- 제로베이스
- js 문자열을 문자배열로
- indexOf()
- 중첩배열평탄화
- 코딩 어?
- 객체의키값만 찾기
- 객체의 밸류값만 찾기
- 깃 토큰 만료
- 우분투 시간 변경
- @Moditying @Query
- Today
- Total
목록2024/07/15 (2)
코딩기록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K2pA3/btsIDraCn9d/JFouDl4Wgfp9CQ7f8747Sk/img.png)
12장 함수12-1. 함수란?함수는 일련의 과정을 문(statement)으로 구현하고 코드 블록으로 감싸서 하나의 실행 단위로 정의한 것.함수 내부로 입력을 전달받는 변수: 매개변수(parameter), 입력: 인수(argument인자), 출력: 반환값(return value)함수는 값이며, 여러 개 존재할 수 있으므로 특정 함수를 구별하기 위해 식별자인 함수 이름을 사용.함수 정의(function definition)를 통해 생성. 함수 호출(function call/invoke): 인수를 매개변수를 통해 함수에 전달하면서 함수의 실행을 명시적으로 지시함.함수를 호출하면 코드 블록에 담길 문들이 일괄적으로 실행되고, 실행 결과, 즉 반환값을 반환함. // 함수 호출 var result = a..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aPYpr/btsIAY0cvpT/C94JdNV997xG2QqV9MftV1/img.png)
11장 원시 값과 객체의 비교원시타입과 객체 타입의 세가지 차이원시 타입의 값, 즉 원시 값은 변경 불가능한 값(immutable value). 반면 객체(참조) 타입의 값, 즉 객체는 변경 가능한 값.원시 값을 변수에 할당하면 변수(확보된 메모리 공간)에는 실제 값이 저장.반면 객체를 변수에 할당하면 변수(확보된 메모리 공간)에는 참조 값(메모리 주소)이 저장.원시 값을 갖는 변수를 다른 변수에 할당하면 원본의 원시 값이 복사되어 전달됨. 값에 의한 전달(pass by value).반면 객체를 가리키는 변수를 다른 변수에 할당하면 원본의 참조 값이 복사되어 전달됨. 참조에 의한 전달(pass by reference). 11-1. 원시 값1). 변경 불가능한 값한번 생성된 원시 값은 읽기 전용 값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