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딩기록

4일차(목) 사용자 로그, 로그 데이터, 데이터 분석 본문

백엔드

4일차(목) 사용자 로그, 로그 데이터, 데이터 분석

뽀짝코딩 2022. 5. 26. 16:09
728x90

로그

컴퓨터에 접속한 기록, 특정 행동을 한 경우 남는 것을 로그라고 한다.

 

데이터 로깅

웹이나 앱을 사용할 때마다 어떤 행동을 했는지 데이터로 남겨 분석하는걸 데이터 로깅이라고 한다.

 

로그를 설계/정의하고 데이터를 분석 하는 이유는?

유저가 남긴 로그로부터 유저의 경험을 추정하고 니즈를 파악해 서비스 개선에 필요한 인사이트를 제공하기 위해 많은 회사에서 로그 데이터를 기록, 분석한다. 

 

 

데이터의 종류

1. 데이터베이스 데이터(서비스 로그)

 

2. 사용자 행동 데이터(유저 행동 로그)

  • 유저 로그라고 지칭하면 사용자 행동 데이터를 의미함
  • 서비스에 반드시 필요한 내용은 아니고, 더 좋은 제품을 만들기 위해 또는 데이터 분석시 필요한 데이터를 의미함
  • 앱이나 웹에서 유저가 어떤 행동을 하는지를 나타내는 데이터
  • UX와 관련해서 인터랙션이 이루어지는 관점에서 발생하는 데이터를 뜻함
  • 예를 들어 Click, View, 스와이프 등

 

데이터가 저장되는 형태

  • 저장되는 형태는 DB냐 텍스트 파일로 저장되느냐 크게 2가지로 구분할 수 있음
  • DB : 데이터베이스로, RDB(관계형 데이터베이스)와 NoSQL 등이 있음. 회원 정보, 주문 정보 등의 데이터는 로그의 형태보다 DB에 저장함
  • 텍스트 파일 : 하나의 파일에 데이터를 저장함
    • 텍스트 파일로 저장된 경우 다시 데이터 분석을 위해 데이터 웨어하우스로 옮기는 파이프라인이 필요할 수 있음
  • 보통 유저에게 빠르게 보여줘야하는 경우, DB에 저장하고 유저와 상관없이 분석용이라고 하면 텍스트 파일로 저장할 수 있음
    • Disk IO vs File IO

 

 

그외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를 보시면 됩니다.

 

 

 

 

 

 

 

 

 

 

참고

https://techblog.woowahan.com/2536/

**추천!! ( 개념과 용어설명, 방식등 자세히 적혀있음 )

https://zzsza.github.io/data/2021/06/13/data-event-log-definition/

 

 

 

 

 

 

 

 

반응형
Comments